2 분 소요

초기의 웹 프로그래밍

웹 프로그래밍 초기에는 ClientWebServer 가 서로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 구조였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는 정적인 파일만 줄 수 있었죠.

하지만 지금 현재의 웹사이트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동적인 웹 페이지가 필요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응답을 다양한 언어로 구현된 프로그래밍과 통신을 할 수 있어야 하게 된 것이었죠.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CGI 구현체입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

HTTP 프로토콜 기반의 웹 서버와 다양한 언어로 구현된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표준 스펙, 인터페이스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두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 매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프로세스가 생성
  • 또 그 프로세스마다 구현체가 생성

1. 프로세스 → 스레드

프로세스를 스레드로 변경하였습니다. 메모리를 공유하는 Thread에 비해서 Process는 각자의 메모리 공간을 지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겁고 생성되는데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즉, 이는 많은 처리 시간을 소모하게 만듭니다.

2. Servlet의 도입

Servlet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표준 스펙이자 인터페이스입니다. CGI 구현체와 마찬가지로 CGI 규약을 따르지만 이를 Servlet Container에게 위임하였고 Container와 Servlet 구현체 간에는 규칙이 존재합니다.

  • Servlet 인스턴스는 Servlet Container를 통해 등록되고 사이클이 관리됩니다.
  • Serlvet은 모든 요청을 받을 수 있으며, 각 요청마다 스레드가 생성되거나 기존에 생성된 스레드를 스레드 풀에서 꺼내와 동작합니다.
  • Servlet 구현체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구현체를 통해 동작이 가능합니다.

Servlet

Web Container (Servlet Container)

Web Container는 Sevlet Container 라고도 불리며, 하는 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 Servlet 라이프 사이클 관리
  • Client의 웹 요청을 해석하여 적정한 Servlet 구현체의 메소드를 ServletRequest, ServletResponse 매개변수와 함께 호출

브라우저를 통해 들어오는 요청을 확인해서 Web Container가 web.xml 파일에 등록된 내용을 토대로 알맞은 Servlet 객체로 라우팅해줍니다.

Servlet Context

하나의 Servlet이 Servlet Container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들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이며 Web Container에 의해 생성됩니다.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웹 어플리케이션 전체에서 공유되는 데이터를 저장
  • 세션 관리
  • RequestDispatcher를 통해 다른 서블릿이나 JSP로 요청 디스패치
  • 보안 및 로깅

Dispatcher Servlet

스프링에서는 서블릿을 Dispatcher Servlet을 통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Dispatcher Servlet 등록

모든 요청은 Dispatcher Servlet 으로 받습니다.

<servlet>
    <servlet-name>dispatcher</servlet-name>
    <servlet-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servlet-class>
    <load-on-startup>1</load-on-startup>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dispatcher</servlet-name>
    <url-pattern>/</url-pattern>
</servlet-mapping>

Dispatcher Servlet 역시 서블릿이기 때문에 web.xml 파일에 등록을 해줘야 합니다. web.xml 파일에 서블릿을 등록하면 서블릿 설정파일이 생성됩니다.

설정 파일 : WEB-INF/servlet이름-servlet.xml

WEB-INF/servlet이름-servlet.xml

  • 매핑 방법 #1 (기본) : BeanNameHandlerMapping

    <beans>
        <bean name="/video" class="org.mobileCloud.controller.VideoController">
            ...
        </bean>
    </beans>
    
  • 매핑 방법 #2 (가장 많이 쓰는) : DefaultAnnotationHandler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VideoController {
         
        @RequestMapping("/video")
        public String do() {
            // 처리 로직 
        }
    }
    

요청에 따라 적절한 Controller 찾기

등록이 완료되었다면 찾아서 사용할 수도 있어야겠죠? 받은 요청을 HandlerMapping을 통해서 확인하고 적절한 Controller를 찾습니다. 찾는 방법은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해주며, 여기서 자세히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Handler(Controller) 메소드 호출

HandlerMapping에서 Controller를 찾았었죠? 찾은 Controller의 메소드를 호출해서 결과를 model and view 형태로 바꿔줍니다.

  • model : Controller의 처리 결과
  • view : 결과를 받는 페이지 <- Controller가 String 타입으로 준다.

String 타입으로 준 이름을 가지고 View Resolver가 실제 view를 찾아줍니다.

그리고 나서 Controller에서 받은 model을 View에 심어 다시 view를 Dispatcher Servlet으로 돌려줍니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보내게 됩니다.

정리

이전에는 각 url 마다 servlet이 필요했고, Servlet에서 view를 직접 만들거나 jsp를 통해 데이터를 보낼 수 있었습니다. view과 완벽히 분리가 되지 않았던거죠.

하지만 Spring Web MVC를 사용하면서 url마다 Servlet을 만들 필요없이 모든 요청을 Dispatcher Servlet을 통해 받을 수 있고 view를 강제로 분리할 수가 있게 됩니다.

댓글남기기